메가레이드 MegaCli 명령어로 RAID 설정 방법
2019.11.27 10:20
1. 레이드 명령어 설정시 필요한 프로그램
1) megaclisas-status : 메가레이드의 상태 확인 프로그램
1. 파이썬을 설치한다. 이 프로그램은 파이썬으로 제작되어있기 때문이다. sudo apt-get install -y python 2. 프로그램 제작자의 Git에서 소스코드를 다운받는다. wget https://raw.githubusercontent.com/ElCoyote27/hwraid/master/wrapper-scripts/megaclisas-status 3. 리눅스의 터미널에서 명령어로 사용할수 있도록 /bin으로 보낸다. chmod 755 megaclisas-status mv megaclisas-status /bin |
2) MegaCli : CLI 환경에서 사용하는 명령어 프로그램
① Ubuntu
1. rpm을 deb 파일로 변환시켜주는 alien과 zip 파일을 압축 해제할수있는 unzip를 설치한다. sudo apt-get install -y alien unzip 2. MegaCli를 다운로드 받는다. 공식홈페이지의 다운링크는 언제나 바뀔수있다. 다운로드가 안되면 파일명을 구글링 해서 다운로드 받으면 된다. wget https://docs.broadcom.com/docs-and-downloads/raid-controllers/raid-controllers-common-files/8-07-14_MegaCLI.zip 3. 설치를 진행한다. unzip /usr/local/src/8-07-14_MegaCLI.zip cd /usr/local/src/Linux alien MegaCli-8.07.14-1.noarch.rpm sudo dpkg --install megacli_8.07.14-2_all.deb 4. 리눅스의 터미널에서 명령어로 사용할수 있도록 /bin으로 보낸다. ln -s /opt/MegaRAID/MegaCli/MegaCli64 /bin/MegaCli |
② Fedora or CentOS
1. zip 파일을 압축 해제할수있는 unzip를 설치한다. sudo yum install -y alien unzip 2. MegaCli를 다운로드 받는다. 공식홈페이지의 다운링크는 언제나 바뀔수있다. 다운로드가 안되면 파일명을 구글링 해서 다운로드 받으면 된다. wget https://docs.broadcom.com/docs-and-downloads/raid-controllers/raid-controllers-common-files/8-07-14_MegaCLI.zip 3. 설치를 진행한다. unzip /usr/local/src/8-07-14_MegaCLI.zip cd /usr/local/src/Linux rpm -ivh megacli_8.07.14-2_all.deb 4. 리눅스의 터미널에서 명령어로 사용할수 있도록 /bin으로 보낸다. ln -s /opt/MegaRAID/MegaCli/MegaCli64 /bin/MegaCli |
2. GUI 환경과 CLI 환경
GUI 환경인 WebBIOS, MegaRAID Storage Manager은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간편하게 사용하고 있다. 하지만 사용하다보면 불편한 사항을 발견할수 있다.
WebBIOS : 서버를 리부팅후에 접근해야한다. 키보드가 정상작동 하지 않으면 바로 OS로 넘어가는경우도 있다. MegaRAID Storage Manager : 같은 네트워크 대역이 아닌 경우 접속이 느리며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펌웨어 버전이 다르면 접속이 안될수도 있다. |
MegaCli은 CLI 환경으로 WebBIOS, MegaRAID Storage Manager에 접근하지 않고 레이드를 빠르게 셋팅하거나 상태를 확인할수 있다. 하지만 아래와
같은 주의 사항이 있다.
※ 주의
WebBIOS, MegaRAID Storage Manager와는 달리 단계를 거쳐 작업을 진행하지 않기 때문에 명령어를 사용하게 되면 바로 적용된다. 사용에 따라서는 |
3. MegaCli 명령어로 레이드 설정
megaclisas-status는 옵션을 복잡하게 넣어서 상태를 확인해야하는 MegaCli와는 달리 상태값을 한번에 확인할수 있어 편리하다.
MegaCli로 레이드를 설정할때 어떤 걸로 하느냐에 따라 사용해야할 명령어가 틀리다. 밑에서 적은 내용은 MegaCli -h에서 가져온 내용으로
메뉴얼이나 구글링을 하지 않으면 어떻게 진행해야할지 혼동이 올수있다.
1) 레이드 0, 1, 5 설정 명령어
MegaCli -CfgLdAdd -rX[E0:S0,E1:S1,...] [WT|WB] [NORA|RA] [Direct|Cached] [CachedBadBBU|NoCachedBadBBU] [-szXXX [-szYYY ...]] [-strpszM] [-Hsp[E0:S0,...]] [-AfterLdX] | [FDE|CtrlBased] [-Default| -Automatic| -None| -Maximum| -MaximumWithoutCaching] [-Cache] [-enblPI] [-Force]-aN |
2) 레이드 10 설정 명령어
MegaCli -CfgSpanAdd -r10 -Array0[E0:S0,E1:S1] -Array1[E0:S0,E1:S1] [-ArrayX[E0:S0,E1:S1] ...] [WT|WB] [NORA|RA] [Direct|Cached] [CachedBadBBU|NoCachedBadBBU] [-szXXX[-szYYY ...]][-strpszM][-AfterLdX]| [FDE|CtrlBased] [-Default| -Automatic| -None| -Maximum| -MaximumWithoutCaching] [-Cache] [-enblPI] [-Force] -aN |
3) 레이드 설정 변경 명령어
MegaCli -LDSetProp {-Name LdNamestring} | -RW|RO|Blocked|RemoveBlocked | WT|WB|ForcedWB [-Immediate] |RA|NORA | DsblPI | Cached|Direct | -EnDskCache|DisDskCache | CachedBadBBU|NoCachedBadBBU -Lx|-L0,1,2|-Lall -aN|-a0,1,2|-aALL |
1) 레이드 0, 1, 5 설정 예시
MegaCli -CfgLdAdd -r0 [252:0,252:1,252:2,252:3,252:4,252:5,252:6,252:7] -a0 1. -CfgLdAdd : 레이드 0. 1. 5 등을 셋팅하는데 사용한다. 2. -r0 : 레이드를 0으로 잡겠다는것이다. 1이나 5로 할 경우 -r1 또는 -r5를 적는다. 3. 252:0 : Slot ID의 0번 디스크를 사용하겠다는 뜻이다. 위의 내용대로면 0부터 7번 디스크까지 레이드 0으로 설정된다. |
2) 레이드 10 설정 예시
MegaCli -CfgSpanAdd -r10 -Array0[252:0,252:1] -Array1[252:2,252:3] -Array2[252:4,252:5] -Array3[252:6,252:7] -a0 1. -CfgSpanAdd : 레이드 10을 셋팅하는데 사용한다. 2. -r10 : 레이드를 10으로 잡겠다는것이다. 3. -Array0[252:0,252:1] : Slot ID의 0번과 1번 디스크를 배열로 묶는다. 위의 내용대로면 0부터 7번 디스크가 4개의 배열로 묶여 레이드 10으로 |
3) 레이드 삭제 명령어 (기존 데이터가 모두 삭제 된다.)
MegaCli -CfgLdDel -LAll -aAll |
레이드 10을 명령어로 만들면 기본적인 옵션으로 레이드가 구성된다. 이대로 사용해도 문제는 없지만 옵션을 변경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.
1) 레이드 옵션 변경 명령어
MegaCli -LDSetProp {-Name LdNamestring} | -RW|RO|Blocked|RemoveBlocked | WT|WB|ForcedWB [-Immediate] |RA|NORA | DsblP I | Cached|Direct | -EnDskCache|DisDskCache | CachedBadBBU|NoCachedBadBBU -Lx|-L0,1,2|-Lall -aN|-a0,1,2|-aALL |
레이드 옵션 명령어를 사용시 다수의 옵션을 사용하면 토큰 에러가 발생한다. 다수의 옵션을 써야하는경우 아래와 같이 따로 사용해야한다.
1) 레이드 옵션 변경시 개인적으로 쓰는 설정
MegaCli -LDSetProp -DisDskCache -L0 -a0 MegaCli -LDSetProp WT -L0 -a0 MegaCli -LDSetProp RA -L0 -a0 MegaCli -LDSetProp Direct -L0 -a0 MegaCli -LDSetProp -name RAID_DISK -L0 -a0 |
명령어를 사용하면 옵션이 변경된것을 확인할수 있다.
MegaCli 명령어로 레이드를 셋팅하고 옵션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했다. MegaCli는 MegaRAID Storage Manager 보다 빠르지만 알아둬야 할 사항도 많고 명령어가 바로 적용이 되기 때문에 한번의 실수가 데이터 망실로 이어지는 것을 염두해야한다.
댓글 0
번호 | 제목 | 글쓴이 | 날짜 | 조회 수 |
---|---|---|---|---|
81 | 우분투 추가 IP 설정하기 | 관리자 | 2015.11.05 | 321 |
80 | top | 관리자 | 2014.12.24 | 342 |
79 | Hardware event. This is not a software error. | 관리자 | 2016.04.29 | 347 |
78 | apt-get -f install | 관리자 | 2015.07.10 | 365 |
77 | Ubuntu Xwindows | 관리자 | 2014.12.08 | 391 |
76 |
리눅스 원격접속 프로그램 PUTTY
![]() | 관리자 | 2014.12.27 | 447 |
75 |
가상서버에서 Apache-GUI 이용하기-2 CentOS
![]() | 관리자 | 2014.12.08 | 456 |
74 | 우분투 파이어폭스 자바 플러그인 적용법 | 관리자 | 2014.12.12 | 466 |
73 |
CentOS 6 webmin rpm 설치 하는방법
![]() | 관리자 | 2016.11.02 | 511 |
72 |
메가레이드 LSI 9261-8i BIOS(바이오스) 펌웨어 업데이트 하는법
![]() | 관리자 | 2016.06.16 | 518 |
71 |
history 시간 출력 방법
![]() | 관리자 | 2014.12.08 | 530 |
70 |
가상서버에서 Apache-GUI 이용하기-1 Ubuntu
![]() | 관리자 | 2014.12.08 | 532 |
69 | CentOS 7 최소설치시 ifconfig가 없다고 나올때 | 관리자 | 2015.03.14 | 546 |
68 |
VPN를 악용하는 xe 광고글 작성자를 iptables로 차단하는 방법
[2] ![]() | 관리자 | 2017.03.31 | 569 |
67 | CentOS와 Ubuntu 로그 차이 | 관리자 | 2015.02.10 | 605 |
66 | 리눅스 세션 자동 종료 | 관리자 | 2015.02.09 | 608 |
65 | 도커의 설치에 관해 정리 | 관리자 | 2018.04.10 | 609 |
64 | VirtualHost 사용중 403 에러 해결하기 | 관리자 | 2014.12.28 | 656 |
63 |
VirtualBox 디스크 이미지 파일을 열 수 없습니다. 해결방법
![]() | 관리자 | 2018.08.02 | 673 |
» |
메가레이드 MegaCli 명령어로 RAID 설정 방법
![]() | 관리자 | 2019.11.27 | 673 |